3줄 요약

1. 혈당 오르지 않아
2. 맛은 비슷한데 뭔가 다른 느낌
3. 일반 커피믹스 가격의 3배

 

 평가

★★★☆ 3.5

 

 

 결론

혈당에 민감한 분, 당뇨가 있으신 분께 추천.

일반 커피믹스와 차이가 있어 부모님을 잘 설득해야..

 

 

 

대사 증후군 의심군에 최근 살이 너무 쪘어서

혈당 조절에 관심이 많아진 저로썬 지나칠 수 없는 상품이 있었습니다.

 

 

스테비아 커피믹스!??

 

빠르게 훑어보시죠.

 

이분.. 원래 눈 밑에 점이 있었나..?

 

 

 

중요한 것만 짚고 넘어가보면..

 

우리가 시중에서 스테비아라고 사먹는 것들은 대부분 스테비아 추출물인 스테비오사이드(이하 스테비아)와 에리스리톨을 1(스테비아):9(에리스리톨)

또는 스테비아 비율이 더 낮게 섞인 제품이다.

 

스테비아만 쓰면 같은 양에서 설탕보다 300배 이상 되는 단 맛을 낸다고 하는데(이걸 어떻게 측정하지..)

아무래도 우리가 설탕 단맛을 내는데 익숙하기 때문에 설탕의 70% 단맛을 내는 에리스리톨과 섞어서 설탕과 비슷한 양으로 비슷한 단맛을 내도록 배합하는 거라고 한다. 쥐콩만한 병에 들어있는 스테비아를 설탕 한포대 값을 받는다고 하면.. 사고싶지 않을듯

 

스테비아 자체는 뒷 맛이 쓰다고 하는데, 100% 스테비아를 먹어본 적이 없다.

 

에리스리톨은 포도당을 발효시킨 당 성분인데 체내에 흡수되지 않고 에너지원으로 쓰이지도 않아 혈당 자극이 없는 인공 감미료이다.

 

결국 스테비아와 적절히 섞어 적절한 단맛을 내고, 스테비아 추출물(스테비오사이드) 특유의 쓴 맛을 중화하기 위해 에리스리톨을 섞는다는 이야기

 

  설탕대비 단 맛 추출 원료 특성 혈당 자극 1g 칼로리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300배 이상 스테비아 허브 특유의 쓴 뒷 맛 없음 4kcal
에리스리톨 0.7배 포도당 가벼운 단 맛 없음 0.24kcal

 

에리스리톨은 영양성분표 중 탄수화물에 포함된다.

 

 

원래 우리집에 있던 커피믹스와 비교해볼까?

 

요즘 저녁에 커피만 마시면 잠을 못자겠다는 와이프분을 위해 사놓았던 디카페인 커피믹스.

 

당이 들어가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칼로리 또한 차이가 난다.

 

당이 있냐 없냐. 이게 가장 중요한 차이이다. 1스틱 무게는 왜 차이가 많이 나는거야. 괜히 손해보는 느낌

 

 

찌를 차례다.

난 이게 싫다. 아프다.

 

아침 공복 혈당을 재고, 마신 후 30분, 1시간 뒤에 혈당을 잴 예정이다.

 

공복혈당 97

 

 

 

 

 

스테비아 커피믹스의 모습. 뭔가 갈색 빛이 돈다.

커피 잔에 담아 놨는데 색은 약간 갈색이다.

타도 갈색이다.

일반 커피믹스에 비해 점성이 묽다는 느낌이 든다.

아마 설탕이 없는 것 때문일 것이다.

 

 

마시고는 정말 최대한 움직이지 않고 컴퓨터만 깔짝거리다가 다시 측정한 결과이다.

혈당엔 변화가 없다.

 

그럼 일반 커피믹스는 어떨까?

 

이날 공복 혈당은 유독 낮았다. 왜인지 모르겠다.

 

 

일반 커피믹스를 마시고도 손하나 까딱하지 않고 싶었지만.. 늦게 일어나는 바람에 출근 시간에 쫓겨 샤워를 하고 나와서 혈당 체크를 했다.

30분과 1시간 사이에 샤워를 해서 혈당이 더 내려갔을 수도 있겠다.

 

 

총평

솔직히 맛은 일반 커피믹스가 좋다.

일반 커피믹스에서 느낄 수 있는 감칠맛과 풍미가 덜하달까.

액체의 질감도 설탕과 다르게 묽어서 커피믹스 같지 않은 느낌도 있다.

 

하지만 혈당에 주의해야하는 사람(당뇨, 대사증후군, 과체중 또는 비만)에게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당을 액체로 섭취하는게 가장 혈당을 빨리 올리는 법 중 하나이기 때문에 당뇨 환자는 특히 조심해야하기 때문.

 

다만 일반 커피믹스에 비해 비싼 가격은 살짝 망설이게 한다.

가격이 3배!

 

무려 가격은 3배에 육박하지만

막상 커피믹스 1포 가격으로 따지고 보면

일반 커피믹스 1포 : 85.3원

스테비아 커피믹스 1포 : 278.1원

 

그래도 비싸네?

 

건강을 위해 한잔에 200원을 투자한다고 생각하면 조금은 손이 가지 싶다.

3줄 요약

1. 킹 갓 제너럴 가성비
2. 양이 부족하진 않은데 뭔가 부족해 (단백질?)
3. 위생에 예민한 사람은 고민을

평가

★★★ 3.0


결론

아 너무 귀찮은데 뭐 먹을만한거 없나.. - 추천

추천

먹는 것 위생에 예민한 사람, 헬창 득근남 - 비추천

비추천

안녕하세요.
저는 평소 PB상품을 즐기는 가성비충입니다.

이걸 굳이 이 돈 주고? 라는 생각을 하다보면 자연스레 PB상품으로 손이 가고 있는 나.
다른 사람들이 먹어보지 않은 PB상품도 종종 집어들기 때문에 먹어본 후기를 솔직하고 간단하게 적어보려합니다.

첫번째 PB 리뷰는

곰곰 새우 볶음밥!!

6개 기준 1개 1965원


가격에 놀라고 리뷰 수에 놀라는 무서운 녀석.
새우볶음밥이 이렇게 인기가 많은 음식이었다니



이렇게 새우가 많다고???



제품 검증

이 친구 꽤나 정직하구나. 300g을 가뿐히 넘어서는 이 중량.

탄수화물 86g , 지방 12g, 단백질 9.9g
탄수화물 비중이 너~무 높다. 2 계란 후라이나 참치 캔을 곁들여 먹어야 좋겠다.


찾아라 드래곤볼~


1봉 6.2? 마리 겟
기대는 안했지만 0.2마리가 뭔가 빈정 상한다.
누군가 0.8마리를 가져갔겠지.
정말 작고 소중한 사이즈의 새우.



솔직히 저거 먹고 배부를 자신이 없었다.
감바스 해먹을라고 홈플러스에서 사놨던 냉동 칵테일 새우를 모셔왔다.(가격표를 착각하고 싼줄 알고 샀는데 비쌌었다.)

보이시나요? EXTRA LARGE.

품에 쏙 작고 소중한 곰곰새우






솔직히 전자레인지에 데워먹으면 맛이 별로다.
볶음밥은 볶아야 제맛.




버터는 코스트코 PB인 커클랜드 버터. (강추)
4스틱이 저 한박스인데 저 한박스가 3개로 묶어서 팔기 때문에
한번 사면 한동안 버터만 먹고 살아야한다. 버터를 퍼먹어야 할 지경

그리고 진심인데 무가염 버터 말고 가염 버터로 해먹었으면 좋겠다.
소금 짱.



버터는 넉넉하게


저민마늘을 버터에 굽다가 큰 칵테일 새우를 적당히 익히고 그 뒤에 볶음밥넣어서 볶아줬다.
사실 저민마늘, 추가 새우를 넣지 않아도 버터에 볶으면 적당히 고소하고 맛이 괜찮다.


볶다가 심심해서 곰곰새우들 격리



순정 볶음밥의 스펙은 다음과 같다.



간은 약간 심심한 정도이나 가염 버터로 볶으면 딱 적당하다.
들어있는 각각의 야채와 새우에 아무런 기대도 하지 않는게 좋다.
새우는 식감만 살짝 탱글하고 맛이 없다. 말그대로 無맛 (이것도 기술이여)

그저 가성비 좋은 볶음밥으로 집에서 출출한데 간단히 뭐 먹고 싶을 때
술마신 다음 날 살기 위해 먹긴 해야겠는데 정말 귀찮을 때

파김치 하나 꺼내서 같이 먹으면 당신의 배를 채워줄 그런 존재

한번 시켜보고 아니다 싶으면 영원히 손절해도 될 그런 착한 가격



무서운 리뷰들

내가 부정적이어서 그런지 모르겠으나
리뷰를 나쁨 순으로 정렬해서 보는 나쁜 습관이 있다


머리카락, 이물질이 나왔다는 리뷰는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었다.

위생에 민감한 분이라면 아주 찝찝할 것.
다만 2021년도, 그 이전에 대부분 이물질 리뷰가 있다는 점. (2022년도에도 있긴 함)
다른 새우볶음밥 상품에 비해 압도적으로 리뷰가 많다는 점을 감안해서~ 요즘은 위생에 신경을 좀 쓰나부다~ 하고 눈 딱 감고 주문함.

햇반 가격의 새우 볶음밥에 너무 많은 것을 바라면 안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 Recent posts